사회 및 경제

[오늘의 경제] 2025년 4월 21일 아침 경제 뉴스 정리

The Chan 2025. 4. 21. 09:50
반응형

 

오늘의 경제 흐름을 한눈에! 정책, 환율, 산업 동향까지 깊이 있게 살펴보세요.


오늘의 주요 이슈 요약

  • 4월 수출입 실적 중간 발표 예정
  • 소상공인 택배·배달비 지원 사업 신청 개시
  • 한국은행 지급결제보고서 발간
  • 국제 금값 상승세 지속
  • 원-엔 환율 소폭 상승
  • 펀드 브랜드 평판, 미래에셋 1위

국내 경제 주요 뉴스

1. 4월 1~20일 수출입 실적 중간 발표

 

오늘 오전 9시, 관세청은 4월 1일부터 20일까지의 수출입 실적을 발표합니다.

지난달까지 반도체 수출이 반등하며 전반적인 무역수지 개선 흐름이 이어졌고, 특히 미국 수출 증가와 인도·중동 지역의 소비재 수요가 주목받았습니다.

이번 발표는 2분기 경제 성장률 예측에 큰 힌트를 제공할 지표로, 주요 산업별 증감률에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주목 포인트:

  • 반도체, 이차전지, 자동차 부품 수출 증감
  • 무역수지 흑자 여부
  • 對중국·미국 교역 흐름 변화

2.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사업 오늘부터 신청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늘부터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사업의 신청을 받습니다.

직접 배달하거나 소형 대행업체를 활용한 사업자도 ‘확인지급’ 대상에 포함되어, 보다 폭넓은 지원이 가능해졌습니다.

 

지원 개요

  • 대상: 2024년 중 배달·택배를 진행한 소상공인
  • 지원 범위: 배달앱·대행업체·택배 등
  • 지원 방식: 선지급+확인지급 병행, 온라인·오프라인 신청 가능

꿀팁:

  • 거래 내역, 배달 영수증을 사전 준비
  • QR코드 신청 및 본인 인증 가능

3. 한국은행, 2024 지급결제보고서 발간

 

오늘 한국은행은 ‘2024 지급결제보고서’를 공식 발간합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금융시장에서 하루 평균 결제 규모가 550조 원을 돌파,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증권·외환 결제가 활발해졌고, 디지털 결제 인프라 확산에 따른 결과로 분석됩니다.

 

주목할 점:

  • 실시간 결제시스템 확대
  • 향후 디지털 화폐(CBDC) 도입 가능성 언급
반응형

글로벌 금융 및 원자재 동향

4. 원-엔 환율 (KRW/JPY) – 소폭 상승

 

2025년 4월 21일 오전 기준, 1엔당 환율은 약 9.05 ~ 9.15원 사이에서 형성되고 있습니다.

이는 일본은행의 금리정책 변화 기대감과 미국 연준의 금리 동결 가능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엔화가 최근 소폭 강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오늘의 원-엔 환율:

  • 매수 기준: 약 9.05원
  • 매도 기준: 약 9.15원

엔화 강세 영향:

  • 일본여행 비용 증가
  • 일본 수입상품 원가 상승
  • 일본 주식 및 채권 환차익 유리

5. 국제 금 시세 – 온스당 3,326달러 돌파

 

국제 금값은 미국 달러 약세와 지정학적 리스크(특히 중동 분쟁, 미중 갈등)로 인해 온스당 $3,326.63까지 상승하며 강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전문가 전망:

  • 미국 금리 인하 시사 시 추가 상승 가능
  • 연내 $3,500 돌파 전망도 제기됨

 


산업 및 금융 동향

6. 4월 펀드 브랜드 평판 – 미래에셋 1위

 

한국기업평판연구소의 4월 분석에 따르면, 미래에셋자산운용이 펀드 브랜드 평판 1위를 차지했습니다.

  • Top 3 순위:
    1. 미래에셋자산운용
    2. 한국투자신탁운용
    3. 삼성자산운용

평가 요소:

  • 브랜드 참여도
  • 미디어 지수
  • 소비자 소통
  • 커뮤니티 반응

미래에셋은 ETF 확대 전략과 글로벌 투자 다변화가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투자자들 사이에서 안정성과 성장성이 동시에 주목받고 있습니다.


오늘의 경제 영상 추천

■ 4월 21일(월) 경제 캘린더 / YTN - YouTube
오늘 발표 예정된 경제 지표와 산업별 일정 등을 정리한 영상입니다. 출근길 3분 투자로 경제 감각 업그레이드!

 


마무리 한줄평

“4월 넷째 주, 경제 회복세의 지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시점. 정책, 수출입, 환율, 금값 모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