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및 경제

2025년 5월 30일 아침 경제 뉴스

The Chan 2025. 5. 30. 09:38
반응형

 

기준금리 인하, 산업 지표 악화, 미국 GDP 감소, 금값 상승

대한민국과 세계 경제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2025년 5월 30일 경제 이슈 브리핑입니다.


1) 한국은행, 기준금리 2.50%로 인하

성장률 전망도 반토막 (1.5% → 0.8%)

  • 한국은행이 5월 기준금리를 기존 2.75%에서 2.50%로 0.25%p 인하했습니다.
  • 동시에 2025년 경제성장률 전망도 0.8%로 하향 조정했는데요, 이는 3개월 전 전망치였던 1.5%에서 대폭 낮아진 수치입니다.

주요 배경

  • 민간 소비 위축, 건설 경기 침체
  • 미국발 관세 리스크 확대
  • 중국 수출 부진 등 복합 요인

금리 인하가 단기 소비 진작엔 도움될 수 있지만, 실질 경기 반등을 위해선 추가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2) 산업활동동향 4월, ‘트리플 하락’

생산, 소비, 투자 모두 감소세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4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 전산업 생산: -1.1%
  • 소매 판매: -0.6%
  • 설비 투자: -2.2%

이는 3개월 만의 트리플 감소로, 내수 경기의 심각한 위축을 보여줍니다.

특히 제조업 가동률 하락은 향후 수출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3) 🇺🇸 미국 1분기 GDP, 예측보다 ‘덜’ 줄었지만 여전히 ↓

-0.1% 하락, 소비·수출 부진 탓

  • 미국 상무부는 2025년 1분기 GDP가 전분기 대비 -0.1% 감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 시장 예상치는 -0.3%였지만, 여전히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 우려가 커지는 상황입니다.

주요 원인:

  • 무역수지 악화
  • 정부지출 둔화
  • 민간 투자 감소

4) 트럼프 관세 정책에 제동

미 법원, 일부 관세 ‘불법’ 판결

  • 미국 연방국제통상법원(CIT)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시행한 일부 상호 관세 조치가 국제법에 위배된다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 하지만 자동차·철강 관련 관세는 유지되며, 무역협상 불확실성은 여전합니다.

이는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수출국에 불확실성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5) 안전자산 ‘금’ 가격 상승세

달러 약세가 금값 회복 견인

  • 미국 경제지표 부진으로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며, 금값이 다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국제 금 시세는 1온스당 2,370달러 선까지 회복.
  • 국내 금 거래가 역시 1g당 95,000원대로 반등 중입니다.

금은 경기 침체기에 강세를 보이는 전통적 안전자산입니다.

반응형

마무리 요약

구분 주요 내용
기준금리 2.75% → 2.50% 인하
성장률 전망 1.5% → 0.8%로 하향
산업지표 생산, 소비, 투자 트리플 감소
미국 GDP 1분기 -0.1% (예상보다 선방)
무역관세 일부 트럼프 관세 무효 판결
금값 달러 약세로 국내외 금값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