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배경 : 최근 항공기 보조배터리 화재 사고
- 2025년 1월 28일, 김해공항에서 출발 예정이던 에어부산 항공기에서 기내 선반에 보관된 보조배터리에서 연기가 발생하여 승객 전원이 대피하는 사고 발생.
- 국토교통부는 이를 계기로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강화를 발표.
2. 한국의 강화된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2025년 3월 1일부터 시행)
배터리 용량 (Wh) | 반입 가능 여부 | 최대 개수 | 항공사 승인 필요 | 위탁 수하물 가능 여부 |
100Wh 이하 | 가능 | 5개 | 불필요 | 불가 |
100~160Wh | 가능 | 2개 | 필수 | 불가 |
160Wh 초과 | 불가 | 0개 | 불가 | 불가 |
🔒 추가 안전 규정
- 기내 충전 절대 금지
- 오버헤드 선반(머리 위 짐칸) 보관 금지
- 직접 소지 또는 좌석 주머니 보관만 허용
- 단자 노출된 배터리는 절연 테이프 또는 파우치에 보관 필수
3. 국가별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비교
국가/기관 | 100Wh 이하 | 100~160Wh | 160Wh 초과 |
한국 | 5개 이하, 승인 無 | 2개 이하, 승인 要 | 반입 금지 |
미국 (FAA) | 제한 없음, 승인 無 | 2개 이하, 승인 要 | 반입 금지 |
EU 대부분 | 제한 없음, 승인 無 | 항공사 재량 | 항공사 및 국가별 상이 |
일본 | 한국과 유사 | 2개, 승인 필요 | 반입 금지 |
중국 | 최대 20,000mAh 2개 | 항공사 승인 필요 | 반입 금지 |
대부분의 국가는 160Wh 초과 제품은 기내/위탁 모두 금지하며, 일부 국가에서는 항공사 재량이 크게 작용합니다.
4. 여행자 유의사항
- 반드시 Wh(와트시) 용량 확인: 제품 뒷면 또는 사양서에 표시
- 충전기, 전동킥보드, 노트북 예비 배터리 등도 규제 대상
- 사전 승인이 필요한 배터리는 항공사에 미리 문의
- 규정 위반 시 압수, 탑승 거부, 벌금 부과 가능
'일상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어컨 사전 점검 (10) | 2025.03.13 |
---|---|
키토산 영양제 Part 1 (12) | 2025.03.13 |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 (38) | 2025.03.12 |
🌸 2025년 봄꽃 축제 캘린더 (34) | 2025.03.12 |
학부모총회 2탄 ! 학부모총회룩 (드레스 코드) (24) |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