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1. 청년도약계좌란?
청년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정부가 장려금(지원금)을 함께 적립해주고, 이자에 비과세 혜택도 제공해주는 제도예요.

👤 2. 가입 대상 (자격 요건)
📌 기본 요건
- 나이: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1989.1.1 ~ 2004.12.31 출생자)
- 국적: 대한민국 국적자
- 개인소득: 직전 과세 기간 기준 총급여 7,500만 원 이하
(종합소득자는 종합소득금액 6,300만 원 이하) - 가구소득: 중위소득 180% 이하
(예: 4인 가구 기준 약 월 936만 원 이하)
📌 병역이행자 특례
- 병역이행자는 병역 기간만큼 가입 연령 상한 연장 가능
예: 군 복무 2년 → 만 36세까지 가입 가능
📌 자산 요건
- 가구의 재산 합계 3.8억 원 이하 (부채 제외 기준)
반응형
💰 3. 납입 및 정부지원 방식
항목 | 내용 |
납입 금액 | 월 최대 40만 원 |
납입 방식 | 월 1회 자유 납입 (1만 원 이상) |
지원금 지급 방식 | 매달 청년이 납입하면, 정부가 소득 수준에 따라 장려금 추가 적립 |
예치 기간 | 최대 5년 |
중도 해지 시 | 정부지원금 회수 (일반 적금 이자만 지급) |
🪙 4. 정부 장려금 구조
소득 구간 | 월 납입액 | 정부 기여금 | 연간 최대 혜택 |
저소득 (1~4구간) | 40만 원 | 최대 24,000원 | 28.8만 원 |
중위소득 초과 시 | 40만 원 | 약간 감소 | – |
고소득 (7,500만 원에 가까움) | 40만 원 | 없음 (비과세 혜택만) | – |
→ 정부기여금은 소득과 가구 정보에 따라 차등 지급
📈 5. 혜택 요약
- 🏦 정부지원금 최대 월 2.4만 원
- 💸 비과세 혜택 (이자 소득세 면제)
- 💰 5년 만기 시 최대 5천만 원 이상 수령 가능
- 🧾 중도 해지 시 일반 적금 수준으로 환원
🏦 6. 가입 방법
- 사전 신청 (자격 확인)
- 청년포털(youth.go.kr) 또는 국세청 홈택스에서 소득/가구요건 조회
- 은행 방문 or 앱 신청
- 국민은행, 농협,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등 16개 금융기관 중 택일
- 가입 완료 후 자동이체 설정 → 매달 납입
📆 7. 예시 시나리오
예: 월 40만 원 납입, 저소득층 청년 (정부장려금 매달 2.4만 원)
- 본인 납입: 40만 원 x 12개월 x 5년 = 2,400만 원
- 정부 지원금: 약 144만 원
- 은행 이자 (연 4% 가정): 약 600만 원 이상
→ 최대 수령액 약 3,100~3,300만 원
❗ 8. 유의사항
- 납입 누락되면 정부 지원금 안 들어옴
- 중도 해지 시 불이익 (지원금 전부 반환)
- 소득·재산 요건 매년 다시 심사
'사회 및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자동차세 연납 신청 총 정리 (36) | 2025.03.26 |
---|---|
부동산 매도 시 양도소득세 계산법과 양도세 계산기 (10) | 2025.03.26 |
강동구 싱크홀 사건과 싱크홀의 원인 및 예방 방법 (18) | 2025.03.25 |
국민연금, 수익률로 말한다: 오해와 진실 (28) | 2025.03.24 |
학생도 이해하는! 국민연금 개혁, 뭐가 달라졌을까? (12)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