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및 경제

파기환송 or 파기자판? 기각? 엇갈린 운명

The Chan 2025. 3. 28. 18:02
반응형

최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사건이 다시금 국민적인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1심에서는 유죄 판결을 받았지만, 2심에서는 무죄로 뒤집히며 반전이 일어났죠. 그러나 검찰이 이 판결에 불복하며 대법원에 상고하면서, 사건은 이제 최종 판단 단계를 앞두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대법원은 어떤 결정을 내릴 수 있을까요?


크게 세 가지 시나리오가 있습니다.

 

1. 상고 기각 – 무죄 확정

가장 단순한 경우입니다.
대법원이 검찰의 상고를 받아들이지 않고 기각한다면, 2심에서 선고된 무죄 판결이 그대로 확정됩니다.

즉, 이재명 대표는 최종적으로 무죄가 되는 것이죠.


2. 파기환송(破棄還送) – 다시 2심으로

두 번째는 파기환송입니다.
이는 대법원이 "2심 판단에 법리적인 오류가 있다"고 보고, 사건을 다시 2심 법원으로 돌려보내는 것입니다.

2심 법원은 대법원의 지침을 바탕으로 사건을 다시 심리하고 재판을 진행하게 됩니다.

 

📝 쉽게 말하면:
“이 판결은 잘못됐으니 다시 판단하세요.”

👉 언제?
추가적인 사실 확인이나 심리가 더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적용됩니다.


3. 파기자판(破棄自判) – 대법원이 직접 최종 판결

세 번째는 파기자판입니다.
말 그대로, 대법원이 2심 판결을 파기하고 직접 최종 판결을 내려버리는 경우입니다.

이는 사건의 사실관계가 명확하고 더 이상의 심리가 불필요할 때 선택됩니다.

 

📝 쉽게 말하면:
“하급법원의 판단은 틀렸고, 추가 심리는 필요 없으니 우리가 바로 최종 판단하겠다.”


파기환송 vs 파기자판 – 요약


구분 파기환송 파기자판
의미 사건을 다시 2심으로 돌려 재판하게 함 대법원이 직접 사건을 종결시킴
조건 추가적인 심리나 사실조사가 필요할 때 추가 심리 없이 바로 판단 가능한 경우
절차 2심 재심리 → 다시 재판 대법원이 곧바로 최종 판결

결론: 공은 대법원으로

이제 이재명 대표 사건의 향방은 대법원의 손에 달려 있습니다.
무죄 확정일지, 재심리일지, 혹은 대법원의 직접 판결일지…
어떤 선택이 내려지든 대한민국 정치에 큰 파장을 불러올 중요한 순간입니다.

많은 이들의 눈이 대법원의 결정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