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 세계 경제의 주요 흐름을 한눈에 정리
국내 경제 동향
1분기 한국 GDP 0.2% 역성장
한국은행은 2025년 1분기 실질 GDP가 전 분기 대비 0.2% 감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소비 위축, 수출 둔화, 건설 및 설비 투자 감소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입니다.
핵심 포인트:
- 전기 대비 -0.2%, 전년 동기 대비로는 소폭 증가
- 민간소비는 0.4% 증가했으나 설비투자 -3.2%, 건설투자 -1.5% 하락
- 수출 역시 반도체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전반적 부진 지속
전문가 의견:
“경기 회복의 모멘텀이 약화되고 있다.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여부에 주목해야 한다.” – 한국경제연구원
대기업 1분기 실적 발표
SK하이닉스와 현대자동차가 20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 SK하이닉스:
- 영업이익 7.4조 원, 전년 동기 대비 약 1200% 증가
- 고대역폭 메모리(HBM)와 AI 수요 증가가 실적을 견인
- 현대차:
- 영업이익 3.1조 원, 분기 최대 실적
- 고환율과 전기차 수출 호조가 주요 요인
서울 아파트 가격, 11주 연속 상승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전주 대비 0.08% 상승, 11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지역별 특징
- 강남권: 압구정·대치 등 주요 단지 매매가 상승
- 강북권: 상계, 미아 등도 상승세
- 전국 평균: 소폭 하락(–0.01%)으로 수도권 중심 강세 뚜렷
전세시장도 점차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어, 5~6월 이사철 전후 매물 부족 이슈가 부동산 가격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국제 경제 이슈
🇺🇸 미국 연준, 관세 정책 불확실성 경고
미 연준(Fed)은 4월 베이지북 보고서에서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이 소비자와 기업 심리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핵심 내용 요약
- 관세 불확실성 → 소비자들이 자동차·전자제품 등의 구매를 앞당기는 경향
- 기업 투자 위축, 재고 조절 강화
-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우려
미 증시 강세, 나스닥 2.5% 급등
미국 증시는 전일 대비 전반적인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 나스닥: +2.50%
- 다우존스: +1.7%
- S&P500: +1.9%
상승 배경
- 중국 정부의 관세 인하 검토 발표
- AI 기술주 급등
- 미 연준의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 언급
국제 금 시세, 단기 조정 후 반등 기대
최근 급락했던 국제 금값이 다시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 현재 온스당 $2,290 선 유지
- 투자자 수익 실현 후 매수세 유입
- 트럼프 정부의 통상 정책 불확실성이 안전자산 수요 자극
한미 통상 회의 예정
오늘 밤 9시(한국시간), 한미 2+2 통상회의가 미국 워싱턴 D.C.에서 개최됩니다.
참석자
- 최상목 경제부총리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미국 측: USTR 대표단, 상무부 인사 등
주요 안건
- 상호 관세 인하 여부
- 미국의 전기차 보조금 차별 개선
- 반도체 공급망 협력 확대
마무리
2025년 4월 24일 경제 뉴스는 내수 둔화와 글로벌 통상 갈등 속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현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대기업 실적이 긍정적인 신호를 주고는 있지만, 소비자와 기업 심리 위축은 단기적인 불안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 앞으로 발표될 미국 GDP 지표와 한미 정상회담 일정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사회 및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문화가족 자녀 교육활동비 신청 방법 총 정리 (34) | 2025.04.24 |
---|---|
전원합의체, 왜 '의례적'이라고 불릴까? (6) | 2025.04.24 |
전원합의체란? (32) | 2025.04.23 |
[오늘의 경제] 2025년 4월 23일 아침 경제 뉴스 정리 (22) | 2025.04.23 |
[오늘의 경제] 2025년 4월 22일 아침 경제 뉴스 정리 (28)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