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최고 사법기관인 대법원. 그중에서도 가장 권위 있는 결정이 내려지는 자리, 바로 ‘전원합의체(全員合議體)’입니다. 이 글에서는 전원합의체의 개념부터 기능, 그리고 최근 회부된 이재명 전 대표 사건까지 한눈에 살펴보겠습니다.
전원합의체란?
전원합의체는 말 그대로 대법원의 ‘전원’, 즉 모든 대법관이 모여 판단하는 특별한 재판부입니다.
일반적인 대법원 판결은 4명의 대법관이 모인 ‘소부’에서 이루어지지만,
법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중대한 사안은 ‘전원합의체’로 회부됩니다.
전원합의체의 구성
- 대법관 13명 + 대법원장 1명 → 총 14명이 심리 참여
- 실제 판결에는 12명 이상 출석 필요
- 과반수 찬성으로 판결 확정
전원합의체 회부 기준
전원합의체는 모든 사건에 적용되지 않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이 있을 때만 회부됩니다:
회부 사유 | 예시 |
기존 판례를 변경할 필요 | 과거 위헌 판결이 없었던 법 조항에 대해 새 판단이 필요할 때 |
소부 간 법 해석이 충돌 | 법률 해석이 엇갈려 혼란을 초래하는 경우 |
사회적 파장이 큰 사건 | 대선 후보 자격 논란, 국정농단 사건 등 |
헌법상 중대한 문제 | 국민 기본권과 관련된 사안 등 |
최근 회부된 사건 – 이재명 전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025년 4월, 대법원은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상고심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했습니다.
사건 요약
구분 | 내용 |
혐의 | 방송 인터뷰 중 허위사실 공표 혐의 |
1심 | 유죄 –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당선무효형) |
2심 | 무죄 |
대법원 회부일 | 2025년 4월 22일 |
회부 사유 | 사회적 파장, 대선 출마 자격 관련 중대성 |
합의 시작일 | 2025년 4월 22일 (즉시 개시) |
왜 이렇게 빠른가요?
대법원은 선거법 사건의 특수성을 고려해 조속히 결론을 내릴 방침입니다.
이는 6월 3일 대선 일정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으며, 후보 자격 여부에 영향을 주는 핵심 변수입니다.
향후 시나리오 정리
판결 결과 | 의미 | 대선 출마 가능성 |
무죄 확정 | 2심 유지 | ✅ 출마 가능 |
파기환송 | 사건이 고등법원으로 돌아감 | ⚠️ 미정 (시기 변수) |
파기자판 (벌금 100만 원 미만) | 유죄지만 피선거권 유지 | ✅ 출마 가능 |
파기자판 (벌금 100만 원 이상) | 피선거권 박탈 | ❌ 출마 불가 |
전원합의체 판결의 중요성
- 국민 생활과 직결된 법적 판단을 새롭게 정립
- 정치 및 사회적 합의의 기준 마련
- 기존 법리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판례 생성
전원합의체 판결은 사실상 “현행법의 새로운 기준”이 되므로
이후 유사 사건들의 판결에도 강한 영향력을 미칩니다.
마무리 정리
- 전원합의체는 대법원 최종 판단 기구
- 주로 사회적으로 중대한 사건이 회부됨
- 이재명 대표 사건은 대선과 연계되어 전국적 관심 집중
- 향후 대법원의 판단은 정치 지형까지 뒤흔들 가능성 있음
2025.03.28 - [사회 및 경제] - 파기환송 or 파기자판? 기각? 엇갈린 운명
파기환송 or 파기자판? 기각? 엇갈린 운명
최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사건이 다시금 국민적인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1심에서는 유죄 판결을 받았지만, 2심에서는 무죄로 뒤집히며 반전이 일어났죠
alliswellforyou.tistory.com
'사회 및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원합의체, 왜 '의례적'이라고 불릴까? (6) | 2025.04.24 |
---|---|
[오늘의 경제] 2025년 4월 24일 아침 경제 뉴스 정리 (18) | 2025.04.24 |
[오늘의 경제] 2025년 4월 23일 아침 경제 뉴스 정리 (22) | 2025.04.23 |
[오늘의 경제] 2025년 4월 22일 아침 경제 뉴스 정리 (28) | 2025.04.22 |
개인연금으로 준비하는 든든한 노후 계획 (20)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