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전체 수출 개요
- 인도는 한국의 7대 수출 대상국 중 하나이며,
인구 14억 명의 거대 내수시장 + 빠른 성장률(2024년 기준 GDP 성장률 약 6.8%)을 가진 전략적 신흥시장입니다. - 2024년 기준 對인도 수출 규모는 약 190억 달러로 전년 대비 약 8.3% 성장
(특히 반도체와 철강, 자동차 부품, 소비재 품목에서 강세)
2. 주요 수출 품목
순위 | 품목 | 품목 및 동향 | 비중 |
1위 | 철강 및 철강판 | 건설·인프라 수요에 따른 꾸준한 수출. 인도 정부의 제조업 육성정책(Make in India)에 따른 수요 증가 |
약 28% |
2위 | 반도체 | 인도의 전자·통신·가전 산업 확대에 따라 한국산 반도체 수입 증가. 서버·스마트폰용 수요 ↑ |
약 24% |
3위 | 석유화학제품 | 플라스틱, 필름 원재료 등. 인도 제조업 기반과 연계된 수요 존재 | 약 18% |
4위 | 자동차 부품 | 현대·기아차 현지 생산 및 인도 내 부품 조달 확대 → 부품 수출 증가 | 약 12% |
5위 | 계측기기·기계장비 | 공장 자동화, 분석기기, 환경센서 등 수요 증가 | 약 6% |
3. 소비재 시장 현황 및 유망 품목
인도는 최근 중산층 증가 + 디지털화 확대 + 한류 영향으로 한국 소비재의 진출 기회가 매우 커지고 있음
주요 수출 소비재 품목
품목 | 특징 | 최근 동향 |
화장품 | K-뷰티 인기, 인도 여성 소비자 대상 브랜드 인지도 상승 | 토니모리·더페이스샵·라네즈 등 입점 확대 중 |
생활가전 | 삼성전자·LG전자의 시장 점유율 상승 (TV, 세탁기, 에어컨 등) | 현지 생산 확대 + 고급화 전략 병행 |
식음료 | 컵라면, 김, 떡볶이 소스 등 한류 식품 인기 | CU, 롯데푸드 등 편의식품 인도 시장 진출 |
패션·잡화 | SPA 브랜드, K패션 브랜드 점차 확산 | 온라인 중심 판매 (Zalora, Myntra 등) |
인도 소비재 시장은 “저가 + 프리미엄 양극화” 경향 → 입문용 가격대 or K-프리미엄 포지셔닝 전략 필요
4. 주목할 신흥·미래 유망 수출 분야
1) 2차전지 및 배터리 소재
- 인도 정부는 전기차 보급 확대를 국가 전략으로 추진 중
- 전기차용 배터리·양극재·전해액 수출 증가 가능성 높음
- LG에너지솔루션, SK온, 포스코케미칼 등이 관심 갖는 시장
2) 친환경 인프라 관련 부품
- 태양광 인버터, 배터리 저장 장치(ESS), 스마트 미터 등
- 인도 정부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 계획과 연계된 시장 확대
3) ICT 및 디지털 솔루션
- 인도의 디지털 인프라 확대(5G, 클라우드, 핀테크)로 네트워크 장비, 보안 소프트웨어, 데이터 센터 솔루션 수요 증가
4) 의료기기 및 바이오헬스
- 인도 내 병원, 의료센터 확충에 따라 진단키트, 초음파기기, 헬스 모니터링 디바이스 수출 확대 중
- COVID-19 이후 헬스케어 소비 확대 → 건강기능식품도 주목
5. 한국 기업 진출 전략 포인트
- FTA 활용: 한-인도 CEPA(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로 일부 품목 관세 인하 혜택
- 현지 생산 + 수출 병행 모델: 삼성, 현대차, LG전자처럼 인도 내 조립/생산 후 역수출 구조도 확대 중
- 온라인 유통 활용: 인도 주요 플랫폼 (Amazon India, Flipkart, Nykaa 등) 통한 소비재 진출 증가
- 중산층 + MZ세대 타깃: 젊고 도시화된 소비층 → 한류 기반 소비재 수요 탄탄
요약
가장 많이 수출하는 제품군 | 철강, 반도체, 석유화학, 자동차 부품 |
가장 각광받는 분야 | 반도체, 자동차 부품, 화장품, 생활가전 |
새롭게 떠오르는 분야 | 2차전지 소재, 친환경 인프라, 의료기기, 디지털 솔루션 |
전략적 키워드 | FTA, 한류, 디지털, 그린전환, 소비 다변화 |
'무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무역 업무의 핵심 키워드 완전 정리 (16) | 2025.03.16 |
---|---|
인도 소비재 시장 현황 (12) | 2025.03.15 |
아포스티유(Apostille) 공증 A to Z (26) | 2025.03.14 |
샘플 보낼 때 CI(Commercial Invoice)와 PL(Packing List) 작성법 (12) | 2025.03.14 |
🌍 2025 무역전쟁 속 EU의 입장과 시사점 (8)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