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트럼프 대통령, EU 관세: 7월 9일까지 유예

The Chan 2025. 5. 26. 14:00
반응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EU)에 예고한 50% 고율 관세 부과를 7월 9일까지 연기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미국과 EU 간 무역 긴장 완화의 신호탄이지만, 협상이 결렬될 경우 글로벌 무역 갈등으로 비화될 가능성도 큽니다.


핵심 요약

  • 트럼프 대통령, EU 대상 50% 관세 부과 유예
  • 7월 9일까지 협상 시한 연장
  • 자동차·농산물·기술·에너지 등 전방위 쟁점
  • 협상 실패 시 EU의 보복 관세 가능성
  • 글로벌 공급망 불안 우려 확산 중

1)_ 🇺🇸 트럼프의 관세 폭탄 예고… 그리고 "연기 결정"

2025년 5월 23일, 트럼프 대통령은 EU가 공정하지 않은 무역 장벽을 유지하고 있다며, 6월 1일부터 EU 제품에 50%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후 5월 25일, 트럼프 대통령은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의 통화에서 협상 연기 요청을 수락, 관세 부과 시점을 7월 9일까지 유예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나는 이 협상 기회를 주는 것이 특권이라 생각한다."
— 트럼프 대통령, FOX 인터뷰 중


2) EU 측 입장: "빠른 협상 시작할 것"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협상 연기를 요청하며, EU는 신속하고 단호한 태도로 협상에 임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EU는 미국의 요구에 강력한 거부감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다음과 같은 부분에서 입장 차가 큽니다:

  • 미국 측 요구
    • EU의 부가가치세(VAT) 폐지
    • 식품 안전 기준 완화
    • 자동차 수출 제한 해제
  • EU의 우려
    • 미국의 농산물 기준 완화 압박
    • 디지털세 부과 문제
    • 서비스 수지 불균형 대응책

3) 협상 실패 시 시나리오

▶ 미국

  • 50% 관세 부과 → EU 자동차, 전자기기, 와인 등 대상
  • 트럼프식 보호무역 재개로 글로벌 시장 동요

▶ EU

  • 1,000억 달러 규모의 미국 제품에 보복 관세 검토
  • 보잉 항공기, 위스키, 가공식품, 에너지 관련 제품 타깃

4)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

  1. 글로벌 공급망 불안 확대
  2. 무역 투자심리 위축
  3. 달러 강세 & 유로화 하락 가능성
  4. 수출 중심국(한국, 독일) 경제 타격 우려
반응형

5) 시장 반응 및 전망

지표 반응 (2025.05.25 기준)
유로화 소폭 상승 (협상 기대감 반영)
다우존스 하락세 둔화
원유 가격 변동성 확대
글로벌 자동차주 관망세 전환
 

관세 전쟁, 다시 시작되나?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 무역 정책은 EU뿐 아니라 중국, 일본 등 주요 경제권과의 갈등을 심화시킬 가능성이 큽니다.
7월 9일은 중대한 분기점이 될 것이며, 한국을 포함한 수출 중심 국가들은 시황을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