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현재, 다시 불붙은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은 글로벌 공급망과 세계 무역 질서를 뒤흔들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은 두 강대국 사이에서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요?
오늘은 정부의 최신 대응 전략, 산업별 대책, 외교적 스탠스까지 종합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상황 요약: 다시 불붙은 관세 전쟁
- 미국: 중국산 제품에 대해 추가 관세 부과. 한국산 철강, 전기차 부품 일부에도 25% 관세 적용 발표.
- 중국: 미국산 곡물, 반도체 장비에 보복 관세 시사. 한국 기업의 中시장 접근에 경고성 메시지 발신.
이러한 압박 속에서 한국은 경제적 피해 최소화 + 외교적 균형 유지라는 이중 과제를 안고 전략적으로 대응 중입니다.
정부의 5대 대응 전략
1. 통상외교: 미국과의 고위급 회담 추진
- 오는 4월 24일, 워싱턴 D.C.에서 한미 통상장관급 회담이 열립니다.
- 최상목 기재부 장관, 안덕근 산업부 장관이 참석해 미국에 관세 유예 요청 및 IRA 유연 해석을 공식 요구할 예정입니다.
- 핵심 협상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철강·배터리 관세 유예 요청
- 전기차 보조금 대상 포함
- IRA 규정 완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한국이 협상을 통해 실질적인 이익을 얻는 방향으로 해법을 모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2. '원스톱 관세대응 지원본부' 신설
- 기존 ‘수출·수주지원단’을 확대 개편하여 출범
- KOTRA, 무역협회, 산업부 등 유관 기관 통합 운영
- 기능:
- 미국·중국 관세 정보 실시간 제공
- 기업 대상 맞춤형 컨설팅 및 FTA 활용 지원
- 관세 피해 대응 매뉴얼 제공
‘관세대응 119’ 창구 개설 → 중소·중견 수출기업 문의 급증 중
3. 주요 산업별 지원 정책 강화
산업군 | 주요 대응 내용 |
반도체 | 33조 원 규모 정부 지원 패키지 추진, 인도·EU 수출 지원 강화 |
철강 | 美 관세 대응 위해 멕시코·베트남 현지 생산 확대, 고부가 철강 개발 |
배터리 | 북미 현지화 투자 확대 (SK, LG 현지 공장 확대) |
자동차 | 전기차 IRA 보조금 대상 확대 요청, 현지 생산 비중 확대 |
특히, LG에너지솔루션·SK온은 미국 내 전기차 배터리 공장 증설을 통해 보조금 수혜 지속을 노리고 있습니다.
반응형
4. FTA·다자협정 적극 활용
- CPTPP, RCEP, 한-EU FTA를 통한 관세 우회 전략 추진
- 일본·유럽 등 제3국과의 FTA 확대 검토
- 미국과는 한미 FTA 재협상은 피하면서 유연한 해석 요청
예: 베트남을 거쳐 미국으로 수출 시 원산지 세탁 우려 최소화하면서 FTA 기준 충족
5. 외환·금융시장 안정화
- 미국의 금리 인상과 중국의 경기 둔화가 겹쳐 원화 약세 지속
- 한국은행:
- 외환시장 안정 개입
- 환율 변동 완충 위해 금융기관 유동성 공급 확대
- 수출 중소기업 대상 환변동 보험 지원 강화
외교적 스탠스: 전략적 균형 유지
미국 대응 | 중국 대응 |
IRA 협상, 공급망 재편 협력 | 中 의존도 줄이되, 대중 외교 유지 |
북미 현지 생산 확대, 외교 접촉 강화 | 中 비판 피하며 전략적 모호성 유지 |
통상 외교 강화 | RCEP 내 협조 강화, 기술 규제 민감 대응 |
한국은 미국의 안보 동맹은 유지하면서도, 경제는 중국과도 긴밀하게 협력하는 외교 기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결론: 지금이 기회이자 위기!
한국은 현재 세계 무역의 격동기 속에서 양국의 틈새에서 기민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 수출시장 다변화
- 글로벌 공급망 재편
- 통상외교 전략 확대
이 모든 전략은 단순히 관세를 피하기 위한 방어적 조치가 아니라, 한국 경제의 체질을 바꾸는 기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무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역 수출 보험의 모든 것 (22) | 2025.04.25 |
---|---|
무역 실무의 어려움과 해결 사례 총 정리 (14) | 2025.04.24 |
한국과 인도의 무역 관계 (14) | 2025.04.21 |
미국 시장은 레드오션일까? 아직도 기회의 땅일까? (17) | 2025.04.19 |
보세구역이란? 수출입 시 보세구역 200% 활용법 (16)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