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주요 이슈를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한국 1분기 경제성장률 -0.24%…4분기 연속 '제로 성장'
2025년 1분기 한국의 실질 GDP 성장률은 -0.24%로 발표되었습니다. 이는 사실상 4분기 연속 제로 성장을 이어가는 결과로, 소비, 수출, 투자 모든 분야에서 부진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주요 지표:
- 민간소비: -0.1%
- 수출: -1.1%
- 설비투자: -2.1%
- 건설투자: -3.2%
분석:
세계적인 고금리 기조와 미·중 무역 긴장 속에서 한국 경제는 수출 주도형 성장 구조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중소기업 및 내수 시장 활성화를 위한 근본적인 구조개혁이 절실하다는 평가입니다.
정부, 미국에 "관세 면제" 공식 요청
기획재정부는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한미 2+2 경제협의를 통해,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등 주요 품목에 대해 한국에 대한 예외 적용을 공식 요청했습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한국은 미국의 핵심 동맹국이자 주요 공급망 파트너입니다.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상호주의 원칙에 입각한 관세 유예가 필요합니다.”
주목 포인트:
-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가 다시 철강·자동차 등에 고율관세 부과 추진 중
- 對美 수출 비중이 높은 중견 제조기업, 타격 예상
- 한국 정부, WTO 규범 준수와 외교 협상 병행 전략
기아 1분기 실적 발표 예정…현대차 뒤이을까?
기아는 오늘 오후 2시경 20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앞서 현대차는 환율효과와 하이브리드 판매 호조로 사상 최대 실적(영업이익 3.6조 원)을 기록한 바 있어, 기아의 성적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시장 기대 포인트:
-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 비중 증가
- 미국 내 관세 리스크 반영 전 실적
- 전기차(EV) 수익성 및 내수시장 점유율 변화
뉴욕증시 기술주 랠리…나스닥 2.74% 상승
24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기술주를 중심으로 강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지수명 | 등락폭 | 마감지수 |
다우지수 | +1.23% | 40,093.40 |
S&P500 | +1.56% | 5,173.23 |
나스닥 | +2.74% | 16,420.48 |
투자 포인트:
AI 수요 기대감 + 금리 동결 기조에 따른 기술주 강세 재개. 엔비디아, 애플, 테슬라 등 대형주 중심으로 매수세 유입.
금값, 국내외 모두 역대 최고치 경신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와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이 동시에 작용하면서 국내외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 국내 금 시세: g당 98,000원대 진입
- 국제 금 시세: 온스당 $2,420 수준
코멘트:
변동성이 커진 증시와 고금리 장기화로 인해 금, 달러, 채권 등 전통적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중입니다.
오늘의 경제 일정 체크리스트
시간 | 일정 | 주요 내용 |
오전 10시 | 물가차관회의 | 가공식품, 외식 물가 점검 및 대책 논의 |
오후 2시 | 기아 실적 발표 | 2025년 1분기 매출·영업이익 등 공개 |
종일 | 금감원 발표 | 2월 기준 국내은행 대출 연체율 발표 예정 |
마무리
오늘의 뉴스는 한 마디로 정리하면 "불확실성 속 분기점"입니다.
한국 경제는 마이너스 성장에 직면했지만, 주요 대기업의 실적과 금리 흐름, 외교적 협상 결과에 따라 반전의 실마리를 찾을 수도 있습니다.
'사회 및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선 후보 및 일정 총 정리 (18) | 2025.04.28 |
---|---|
[오늘의 경제] 2025년 4월 28일 아침 경제 뉴스 (18) | 2025.04.28 |
다문화가족 자녀 교육활동비 신청 방법 총 정리 (34) | 2025.04.24 |
전원합의체, 왜 '의례적'이라고 불릴까? (6) | 2025.04.24 |
[오늘의 경제] 2025년 4월 24일 아침 경제 뉴스 정리 (18)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