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알부민이란?
- 알부민은 간에서 합성되는 수용성 단백질로, 전체 혈장 단백질의 약 60%를 차지합니다.
- 혈액, 림프액, 세포외액 등에 존재하며, 분자량이 작고 이동성이 높아 다양한 물질을 운반하고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알부민의 생리적 역할
1. 혈장 삼투압 조절
- 알부민은 혈장 내에서 가장 많은 단백질이므로, 혈관 내 삼투압 유지에 핵심 역할을 합니다.
- 삼투압이 낮아지면 수분이 조직으로 빠져나가 부종이 발생하게 되며, 특히 간경변이나 신증후군 환자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2. 운반체 역할
- 혈액 내에서 지방산, 호르몬(특히 갑상선 호르몬), 빌리루빈, 약물, 중금속 등을 결합해 운반합니다.
- 약물 작용 시간과 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약물 투여 시 알부민 수치를 고려하기도 합니다.
3. 산-염기 균형 조절
- 약한 음전하를 띠는 단백질이므로, 혈액의 pH 완충 작용에도 관여합니다.
4. 항산화 작용
- 체내의 자유 라디칼을 중화하는 항산화 물질로도 작용합니다.
알부민 수치와 건강 상태
정상 수치 (혈중 알부민)
- 정상 범위: 3.5 ~ 5.0 g/dL
- 낮은 경우 (저알부민혈증):
- 원인: 간 질환, 영양 결핍, 신증후군, 만성 염증, 흡수장애, 출혈 등
- 증상: 피로, 부종, 근육 손실, 면역력 저하
높은 경우 (고알부민혈증):
- 대부분은 탈수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증가
- 특별한 질병의 지표로 사용되진 않음
알부민 섭취 방법 (자연식 + 보충제)
1. 자연식으로 섭취
- 고단백 식품이 기본입니다.
식품 | 알부민 또는 단백질 함량 | 특징 |
달걀 흰자 | 약 3.6g/개 | 순수 알부민, 흡수율 좋음 (익혀서 섭취!) |
닭가슴살 | 약 23g/100g | 고단백 저지방 |
두부/콩류 | 약 8~10g/100g | 식물성 단백질, 알레르기 적음 |
유청 단백질 (Whey Protein) | 제품마다 상이 | 빠른 흡수, 운동 후 섭취에 적합 |
생선 (연어, 고등어) | 20g/100g 이상 | 오메가3도 풍부 |
2. 보충제 섭취
- 알부민 보충제는 주로 다음과 같은 형태로 제공됩니다:
- 혈청 알부민 파우더 (우유, 달걀 유래)
- 유청 기반 단백질 파우더 (WPI, WPC 등)
- 의료용 알부민 제제 (수액, 주사): 병원에서만 사용, 간경화/신부전 등 환자 대상
섭취 팁:
- 운동 직후, 공복 아침, 또는 간식 대용으로 단백질 보충제 섭취
- 단백질 섭취 시 물 충분히 마시기
- 신장 질환자는 의사와 상담 필수
알부민과 관련된 질환
질환 | 관련성 |
간경변 | 간에서 합성 저하 → 알부민 수치 감소 → 복수, 부종 |
신증후군 | 신장 손상으로 알부민 소실 → 단백뇨, 부종 |
암/만성 염증 | 지속적 염증 반응 → 알부민 생성 저하 |
영양실조/거식증 | 단백질 섭취 부족 → 알부민 감소 |
알부민 수치 관리 방법 요약
- 단백질 충분히 섭취 (체중 1kg당 1.0~1.2g 이상)
- 물 자주 마시기 (단백질 섭취량 많을수록 중요)
- 무리한 다이어트 금지 (특히 단백질 결핍 방지)
- 간 건강 관리: 음주 줄이고 비타민 B군 섭취
- 신장 질환 환자는 반드시 의료진과 상담 후 단백질 섭취 조절
'일상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 캠퍼를 위한 봄 캠핑 준비물 가이드 (58) | 2025.03.19 |
---|---|
ORT란? 단계별 학습과 이상적인 진행 일정 (10) | 2025.03.19 |
환절기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 (10) | 2025.03.19 |
ChatGPT 무료 vs 유료, 뭐가 다를까? (29) | 2025.03.19 |
가수 휘성을 추모하며... (4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