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OTRA 지사화 사업이란?
해외에 나가서 직접 영업하거나, 바이어를 만나고, 시장조사를 할 인력이 부족한 기업을 위해
KOTRA의 해외 무역관이 ‘임시 지사’처럼 현지 활동을 대신 수행해주는 맞춤형 지원 사업입니다.
왜 필요한가요?
해외 진출을 원하는 기업들이 겪는 대표적인 어려움:
해외에 직원 파견 어려움 | 인건비, 체류비, 비자 등 비용 부담 큼 |
현지 정보 부족 | 시장 트렌드, 소비자 니즈, 유통망 정보 부족 |
언어/문화 장벽 | 직접 바이어 대응이나 상담 어려움 |
바이어 발굴 난항 | 누가 진짜 구매자인지 판단 어려움 |
이런 문제를 KOTRA 지사화 사업이 **"우리 대신 현지에서 뛰어주는 시스템"**으로 해결해줍니다!
KOTRA 지사화 사업, 어떻게 운영되나요?
대상 기업:
- 해외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중소·중견기업
- 수출 초보 기업부터 성장단계 기업까지 다양하게 참여 가능
수행자:
- KOTRA 해외 무역관
- 또는 현지 전문 수행기관 (컨설팅 회사, 마케팅 회사 등)
지원기간:
- 일반적으로 6개월 ~ 1년
KOTRA가 해주는 주요 업무들
바이어 발굴 및 상담 주선 | 현지 바이어를 찾아 기업과 연결해 줌 | 무역관 직원이 현지 유통사와 상담 주선 |
시장조사 | 현지 산업 동향, 경쟁사 분석 등 조사 | 독일 전기차 부품 시장 트렌드 보고서 제공 |
수출입 실무 지원 | 통관, 인증, 라벨링 등 컨설팅 | 제품이 인도 세관에서 막힌 사유 확인 및 조치 |
마케팅/홍보 지원 | 현지 온라인 마켓 등록, SNS 홍보 등 | 아마존에 제품 올리고 리뷰 관리까지 지원 |
계약 및 클레임 대응 | 바이어와 계약서 작성 자문, 분쟁 시 대응 | 계약 조건 조정 및 대금 미지급 대응 자문 |
전시회/상담회 대행 | 기업 대신 전시회 참가, 바이어 상담 수행 | 홍콩 식품 박람회에 대리 참가 후 리포트 제출 |
지사화 사업의 유형
KOTRA는 기업의 상황에 따라 맞춤형 지사화 모델을 제공합니다.
일반형 | 가장 기본적인 형태. 바이어 발굴, 시장조사 등 전반적 지원 | 수출 입문~성장단계 기업 |
전문형 | 인증, 지재권, 통관 등 특정 분야에 특화된 서비스 | 특정 이슈 해결이 필요한 기업 |
복수형 | 여러 무역관을 동시에 활용 (예: 동남아 3개국 동시 타깃) | 여러 국가를 한꺼번에 진출하고 싶은 기업 |
디지털형 | 온라인 유통채널 진출, 라이브커머스 등 디지털 마케팅 중심 | 전자상거래로 수출하려는 기업 |
비용은 얼마나 들까?
- 정부 지원 + 기업 자부담 구조예요.
- 기업 규모, 사업 유형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총비용의 30~50%만 기업이 부담하면 됩니다.
- 자부담 예: 6개월 기준 200~400만 원 선 (사업마다 상이)
참여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 사업 공고 확인 (KOTRA 홈페이지 등)
- 신청서 및 계획서 제출
- 심사 및 선정
- 무역관 또는 수행기관과 매칭
- 계약 체결 후 현지 활동 시작
- 중간/최종 보고서 제출 → 결과 분석
실제 사례로 보는 지사화
IT 한 중소 식품업체가 이탈리아 수출을 원했지만, 언어·유통·영업 모두 막막
→ KOTRA 밀라노 무역관과 지사화 사업 체결
→ 6개월 동안 바이어 15곳 연결, 5곳 샘플 납품, 1곳과 정식 계약 체결
→ 현지 이탈리아어로 제품 소개서 제작 및 라벨링 수정도 지원
요약 정리
정리
목적 | KOTRA가 현지 지사 역할을 수행해 기업의 해외 진출을 돕는 사업 |
대상 | 해외 진출 희망 중소·중견기업 |
주요 지원 | 바이어 발굴, 시장조사, 마케팅, 수출 실무, 계약 자문 등 |
기간 | 6개월 ~ 1년 |
비용 | 일부 자부담 (보통 30~50%) |
효과 | 시간·비용 절감 + 해외 수출 성공 가능성 ↑ |
반응형
'무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미·중 무역전쟁 심층 분석 (12) | 2025.03.13 |
---|---|
2025년 미국-캐나다 갈등 (16) | 2025.03.13 |
코트라 현지화 사업 (2) | 2025.03.12 |
무역회사에서 코트라를 활용하는 방법 (16) | 2025.03.12 |
무역 실무의 현실과 방안 (6) | 2025.03.10 |